“더도 덜도 말고 늘 한가위만 같아라.”
한가위는 한 해 농사가 마무리되고, 수확한 곡식과 과일을 나누며 조상에게 감사하는 명절이다. 이 시기에는 모두가 배불리 먹고 즐길 수 있었기 때문에 예로부터 한가위는 풍요와 기쁨의 상징이었다. 2023년 12월 18일, 추석을 비롯한 설과 대보름, 한식, 단오, 동지 등 우리 민족의 5대 명절이 국가무형유산으로 신규 지정된 것을 기념하여 지난 9월 6일 ‘2024 한가위 한보따리’ 행사가 열렸다.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된 우리 명절은 음력 정월 초하루에서 보름까지로 한 해의 시작을 기념하는 ‘설과 대보름’, 동지 후 105일째 되는 날이자 성묘, 벌초, 제사 등의 조상 추모 의례를 중심으로 전해 내려온 ‘한식’, 음력 5월 5일로 다양한 놀이와 풍속이 전승되어온 ‘단오’, 음력 팔월 보름인 날로 강강술래부터 송편까지 다양한 세시풍속을 보유한 ‘추석’, 24절기의 22번째 절기로 1년 가운데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동지’까지 총 5개이다.
국가유산청 주최로 진행된 이번 행사는 다가오는 추석 명절을 미리 즐길 수 있도록 다채롭게 구성되었다. 오전 10시에 다섯 개 명절의 무형유산적 가치를 논하는 학술대회를 시작으로 송편, 토란탕, 부럼, 팥죽 등 각 명절의 대표 음식들을 만나볼 수 있는 음식 전시와 퓨전국악공연 등이 준비됐다.
특히 한국의 집 해린관 로비에 마련된 전시 공간에서 명절 음식 30여 종과 전통 차례상 음식을 볼 수 있었다. 이번 전시가 더욱 특별한 이유는, 점차 차례상이 간소화되고 명절 음식을 사서 먹는 요즘 시기에 정성스레 요리한, 다양한 명절 음식들을 한 공간에서 만나볼 수 있다는 점에 있었다.
행사를 찾은 한 시민은 “국가무형유산에 명절이 포함되는지 오늘 처음 알았어요. 저 같은 직장인에게 사실 설날, 추석은 1년에 꼭 한 번씩 찾아오는 단비 같은 휴일이죠. 그리고 가족끼리 얼굴 보는 날이고요”라고 말하며 “요즘 젊은 세대일수록 혼자 살고 혼자 노는 거에 익숙하잖아요. 명절 때 온 가족이 모여 송편 만들고, 윷놀이하는 추억들이 사라진다는 게 조금은 아쉽기도 했는데, 오늘 행사에 송편 빚기 체험이 있어서 좋았어요”라며 행사 참여 소감을 전했다.
“다섯 개 명절이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된 만큼 향후 명절 문화를 함께 즐길 수 있는 행사들이 많아지길 바란다”는 그의 말에 깊이 공감할 수 있었는데, 명절이 국가무형유산으로 신규 지정된 취지 역시 오랜 시간 동안 소중히 여겨온 명절날의 문화적·공동체적 가치가 사라지지 않도록 관리하고 전승하려는 국가적 노력의 일환이라고 생각한다.
한편 행사 당일 16시부터 한국의 집 민속극장에서는 문화심리학자 김정운의 ‘추석명절_마음을 움직이는 힘’ 토크콘서트가 진행되었다.
“내가 실제로 희한한 경험을 했어요. KBS 특강 생방송 준비를 하는데, (방청객 아주머니들이) 와! 감탄하니까 갑자기 내가 강의를 너무너무 잘하는 거예요. 왜? 감탄을 받으면 잘할 수밖에 없어요. 잘하니까, 재밌죠, 감탄하죠, 재밌죠, 감탄하죠, 선순환이 일어나요. 행복한 집안은 이런 겁니다.”
김정운 박사는 추석 명절을 행복하게 보내는 방법으로 “멋있다”, “대단하다”, “잘한다”와 같이 감탄의 말을 건네보길 바란다고 조언했다. 곧 한가위가 다가온다. 가족이 모여 우리 명절의 공동체적 의미를 되새기고, 감탄의 말과 함께 풍요로운 추석 되길 바란다.
대한민국 정책기자단 김도연 do240111@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