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인 나는 부모님께서 보험 관리를 해주고 계셔서 평소 나의 보험 가입 여부 및 보험 정보에 대해 전혀 모르고 있었다. 그러던 와중 얼마 전 보험 관련 다큐를 보게 되었고, 부모님과 대화를 나누면서 내가 어떤 보험에 가입되어 있는지에 대해 여쭤봤다. 부모님께서는 일단 실비보험은 있다고 하시면서, 예전에 들었던 보험은 언젠가부터 돈이 빠져나가지 않는 걸 보니 자동으로 해지된 것 같다고 말씀하셨다. 이 이야기를 들으면서 그간 부모님께서 보험을 관리해주시는 것을 당연하게 생각했던 점이 죄송했고, 앞으로 어떤 보험에 가입되어 있는지와 어떤 조건의 보험인지는 대략이라도 알아두어야겠다는 생각했다.

하지만 보험에 대해 잘 알지 못하고, 계약서도 너무 복잡해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던 와중 ‘내보험찾아줌’(https://cont.insure.or.kr/cont_web/intro.do) 누리집을 이용해 숨은 보험금을 찾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내보험찾아줌 누리집은 생명보험협회와 손해보험협회에서 지원하는 서비스로, 절차에 따라 개인정보를 입력하면 가입되어있는 보험 정보와 숨은 보험금을 찾을 수 있다. 나는 이 서비스를 통해 자동으로 해지된 것으로 추정되는 보험을 찾아보기로 결정했고, ‘미궁 속 보험’을 찾는 여정을 떠났다.

숨은 보험을 찾는 여정은 매우 간단하다. 우선 내보험찾아줌 누리집에 들어가 ‘숨은 보험금 조회하기’ 버튼을 누르면 개인정보 입력 화면이 나오는데, 해당 창에 이름과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한 뒤 본인 인증을 진행하면 된다. 본인인증은 공동인증서, 아이핀, 휴대폰 인증 중 편한 것을 선택할 수 있다.

본인인증을 완료하면 보험 조회에 필요한 여러 정보를 수집하는 것에 대한 동의를 구하는 창이 나온다. 나는 약관을 꼼꼼히 잘 읽어보았고, 크게 문제 되는 내용이 없다고 판단하여 바로 보험 조회를 신청했다.

보험 조회 버튼을 누르고 나면 예상 대기 시간이 나오면서 보험 조회가 시작된다. 나는 30초의 시간이 걸린다는 화면이 나왔고, 숫자가 줄어들다가 정확히 30초 후에 보험 조회가 완료되어 결과 창이 나왔다.

보험을 조회해보니, 만기에 도달해 자동으로 해지된 것으로 보이는 3개의 숨은 보험을 찾을 수 있었다. 현재 가입되어있는 보험은 부모님의 말씀대로 실비보험 하나였고, 그 보험도 보험 기간이 얼마 남지 않아 추가적으로 확인이 필요한 상태였다. 보험 조회를 해보고 나니 내가 어떤 보험에 가입되어 있었는지를 빠른 시간 안에 조회해볼 수 있어서 편했다.
뿐만 아니라 내가 찾았던 미궁 속 보험 하나 뿐 아니라 다른 보험들도 모르는 새 만기를 맞아 효력이 사라져 있었다. 이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았다면 존재조차 모르고 넘어갔을 것 같아서 새삼 보험 관리에 신경을 써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게다가 현재 가입되어 있던 보험도 얼마 뒤면 보장기간이 끝나는 상태였는데, 해당 서비스를 통해 보험 기간을 확인해서 추가적인 대처를 할 수 있다는 점 또한 유용했다. 가입된 보험의 존재에 대해 알고 싶거나, 숨은 보험금을 찾아보고 싶은 사람들에게 ‘내보험찾아줌’ 서비스 이용을 추천하고 싶다.
대한민국 정책기자단 양은빈 bin2bin249@khu.ac.kr
- 텍스트 데이터는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갖고 있지 아니하므로,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 제37조(출처의 명시)
-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 및 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 제138조(벌칙)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여름철 안전, 스마트한 준비로 완벽 대비!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