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요기관을 사칭한 보이스피싱으로
금융상품 가입을 유도하는 사기 사례가 발생했습니다.
조달업체 여러분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 공공기관 임직원 사칭 금융상품 판매 사기
피해사례
- 나라장터에서 계약정보 확인
- 수요기관 계약담당자로 본인 소개
- 최근 계약건명과 날짜를 언급
- 금융상품 설명회 참석 및 가입유도, 금융상품 판매
이렇게 대응하세요
- 발신처 확인하여 공식 연락처가 맞는지 확인
- 금융상품 설명회 등을 유도 할 경우 의심
- 전화 종료 후 기관 계약담당자 전화 통해 사실 여부 확인
* 공무원 사칭 허위물품 대납 사기
피해사례
- 수요기관 직원 이름으로 명함제작
- 허위공문서를 작성(구매확약서 위조)하여 물품납품 유도
- 특정업체를 소개하며 물품구매 및 대납계약 유도
이렇게 대응하세요
- 발신처 확인하여 공식연락처가 맞는지 확인
- 위조공문서(구매확약서 양식) 확인
- 전화 종료 후 기관계약담당자 전화를 통해 사실 여부 확인
범죄로 의심되는 연락을 받을 경우,
즉시 조달청이나 수사기관에 신고해 주세요!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공항 속 기상청의 리얼 업무 현장 '항공기상청'을 소개합니다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