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보도자료] 국무조정실장 주재 제2차 공공임대 공실개선 미니정책 TF 보도자료

글자크기 설정
목록


두텁고 촘촘한 주거안전망 구축을 위한 공공임대 공실개선 미니정책TF 2차회의 개최

- 서울역·대전역 쪽방 거주민 실태조사를 토대로 개선방안 도출

- 쪽방촌 정비사업 속도 제고, 주거복지센터 설치 의무화 등 적극 추진



□ 윤창렬 국무조정실장은 9월 9일(화) 정부서울청사에서 공공임대주택 공실개선을 위한 '미니정책TF' 2차 회의를 주재하였다.


   * 참석자 : (정부) 국무조정실장, 국무2차장, 보건복지부 1차관, 국토교통부 주택토지실장(국회) 박용갑의원, 장철민의원, 채현일의원, (공공기관) LH 조경숙 주거복지본부장, 국토연구원 강미나 선임연구위원, (민간) 원용철 벧엘의집 담당목사, 조부활 대전쪽방상담소장 


 ㅇ '공공임대 공실개선 미니정책TF'는 김민석 총리가 지난 7월 대전 쪽방촌 방문 때 공공임대주택의 공실개선을 위한 TF를 만들겠다고 한데에 따른 후속조치로, 지난 1차 회의(7.24)에서 주거취약계층 공공임대 기피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등 5개 과제*에 대해 추가 논의하기로 한 바 있다.


   * ➊주거취약계층 공공임대 기피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➋공공임대주택 공실 해소, ➌쪽방촌 정비사업 신속 추진, ➍주거 취약계층 지원 거버넌스 강화, ➎지원대상 확대


□ 이번 회의에서는 5개 과제에 대한 추진방안을 논의·정리하였으며,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 먼저, ➊주거취약계층 공공임대 기피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과 관련하여,


 ㅇ 주변 공공임대주택으로 이주 의향이 있으나, 주거 지원사업에 대한 낮은 인지도, 인근 이주지 불충분 등으로 실제 이주로 이어지지 못하는 문제를,찾아가는 주거상담소 등 현장형 홍보 강화, 쪽방촌 인근 공공임대주택 공급, 중앙·지방정부·주거복지센터·쪽방상담소 등이 함께 참여하는 주거복지 거버넌스 운영 등으로 해결해 나가기로 했다.


□ 또한, ➋공공임대주택 공실 해소와 ➌쪽방촌 정비사업 신속 추진을 위하여,


 ㅇ 노후 임대주택 리모델링, 냉장고·세탁기·에어컨 등 빌트인 설치 확대, 도심지·역세권 등 우수 입지 위주의 임대주택 공급을 추진하는 한편,


 ㅇ 서울역·영등포역·대전역의 쪽방촌 정비 사업 속도제고를 위하여 주택법령 개정 등 제도개선, 민관 합동 사업점검 회의 정례 개최 등 주민 소통을 강화해 나가기로 하였다.


□ 한편, ➍주거 취약계층 지원 거버넌스 강화와 ➎지원대상 확대를 위하여,


 ㅇ 일정규모 이상 도시에 주거복지센터 설치를 의무화*하는 한편, 주거 취약계층 지원대상 확대를 위하여 보건복지부·행정안전부·지자체 간 논의를 통해 추가적인 지원방안을 발굴하기로 하였다.


   * 광역 지자체 및 일정 규모 이상 대도시에 주거복지센터 설치 의무화(주거기본법 개정 추진)


□ 이밖에, 1)쪽방 주민의 주거지원 상향을 위해서는 공공임대 활용도 필요하나, 커뮤니티가 형성된 지역 내 재정착 지원이 최우선으로 고려되어야 할 필요, 2)공공임대 리모델링 시 노후화 뿐만 아니라 건축물 구조·설비(엘리베이터 설치 등)나 커뮤니티 공간 개선 등도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 등이 폭넓게 논의되었다.


□ 회의를 주재한 윤창렬 국무조정실장은 국토교통부와 보건복지부에 "그동안 논의된 사항을 실행할 수 있도록 세부 대책을 구체화하고 관련 예산· 입법 조치도 마련해 달라"고 하면서,


 ㅇ "TF는 이번으로 마무리하지만, 국무조정실은 오늘 논의된 정책이 국민 실생활에 잘 안착되도록 추진상황을 지속 점검·관리해 나갈 예정이며, 관계부처 및 국회와도 지속 협의하겠다."고 밝혔다.

“이 자료는 국무조정실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이전다음기사

다음국방부차관, 제14회 서울안보대화 계기 캐나다,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스웨덴과 양자회담 개최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저출생 극복 나도 아이도 행복한 세상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