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한국-말레이시아(7.31.) · 태국(8.4.) 뉴스페이스 세미나 개최

2025.08.04 외교부
글자크기 설정
목록

  외교부와 우주항공청은 7월 31일(목)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와 8월 4일(월) 태국 방콕에서 현지 정부 기관 및 민간 기업과의 우주 분야 협력 강화를 위한 뉴스페이스 세미나(New Space Seminar)를 개최하였다.  


  이번 세미나에는 말레이시아 12개, 태국 9개 등 총 14개의 국내 우주 기업이 참가하였다. 양국 우주 기관이 우주정책 및 개발 방향을 발표하였으며, 이후 우리 기업은 각각 보유한 기술력과 협력 의향을 소개하였다. 우리 기업과 현지 기관 및 기업과의 1:1 네트워킹을 통해 실질적인 협력 수요를 직접 확인하고 구체적인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도 마련하였다.


  한민영 외교부 기후환경과학외교국장의 개회사로 시작한 「한-말레이시아 뉴스페이스 세미나」에는 국내 12개 기업*과 말레이시아 과학기술혁신부(MOSTI), 우주청(MYSA)을 포함한 6개 기관 16개사가 참석하였다. 말레이시아 정부에서는 다툭스리 하지 하스놀 잠잠(Datuk Seri Hj. Hasnol Zam Zam) 과학기술혁신부 차관이 환영사를 통해 한-말레이시아 우주 협력 가능성에 대한 높은 기대감을 표명하였다. 또한, 정관우 우주항공청 국제협력담당관과 닉 마즈리나(Nik Mazlina) 말레이시아 우주청 부청장이 양국의 우주 정책을 소개하였다.

  * CSO, DN솔루션즈, KT Sat, 나라스페이스, 레인버드지오, 메이사, 스페이스린텍, 스페이스맵, 코스모비, 텔레픽스, 페리지에어로스페이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특히 국내 위성 개발·활용 기업인 나라스페이스는 말레이시아 위성 솔루션 기업 Altair Research Lab과 양해각서(MOU)를 교환하고, 말레이시아 정부 기관을 대상으로 하는 위성정보 활용 서비스를 공동 개발하기로 합의하였다. 이번 협약은 기술 협력을 넘어 실제 정부 사업으로의 진출 기반을 확보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성과로 평가된다. 여승배 주말레이시아 대사는 축사를 통해 "말레이시아 최초로 양국 우주 전문기관 및 기업들이 교류하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하며, 오늘의 세미나가 향후 한-말레이시아 간 우주 분야의 실질협력으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고 하였다.


  한편, 「한-태국 뉴스페이스 세미나」에는 국내 9개 기업*과 태국 고등과학혁신부(MHESI), 지리정보·우주기술개발청(GISTDA), 국방기술연구소(DTI), 투자청(BOI) 등 주요 우주 관련 정부기관 및 산학기관 5개사가 참여하였다. 박용민 주태국 대사는 개회사를 통해 "한-태국은 민간 주도의 뉴스페이스 시대에 발맞춰 우주기술을 통한 공동 번영과 인류 발전을 모색하는 전략적 파트너이며, 오늘 세미나가 양국 간 실질적 협력과 공동 프로젝트로 이어지길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태국 정부는 빠껀 아파판(Pakorn Apaphant) GISTDA 청장의 환영사를 통해 한-태국 우주 협력 가능성에 대한 높은 기대감을 표명하였다. 정관우 우주항공청 국제협력담당관과 나따왓 홍깐잔군(Nattawat Hongkarnjanakul) GISTDA 박사가 양국의 우주 정책을 소개하였다.

  * DN솔루션즈, 나라스페이스, 스페이스린텍, 스페이스맵, 스페이스빔, 스펙스, 코스모비, 텔레픽스, 페리지에어로스페이스


  한국 기업들은 최근 증가하고 있는 태국의 위성 개발 및 활용 수요와 밀접히 연관된 위성제작·개발, 위성 영상기반 AI 분석 및 기후·재난 대응 솔루션 등을 소개하였다. 또한, 이준희 외교부 국제과학기술규범과장의 환영사로 시작한 리셉션과 이어진 1:1 면담을 통해 우리 기업들은 태국 정부 및 기업과의 구체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할 수 있었다.


  외교부와 우주항공청이 인도네시아(7.28.) 말레이시아(7.31.), 태국(8.4.)과 연이어 개최한 이번 뉴스페이스 세미나는 동남아 주요국 정부와의 우주 협력을 강화하고, 우리 우주 기업들의 동남아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를 마련한 것으로 평가된다. 정부는 이번 행사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도 우리 기업의 신규 시장 진출 수요에 맞춰 뉴스페이스 세미나와 같은 협력 기회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끝.

“이 자료는 외교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이전다음기사

다음[보도자료] 김민석 국무총리 주재 제1차 이태원참사 희생자 추모위원회 보도자료 모두발언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저출생 극복 나도 아이도 행복한 세상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