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대내외 농업환경 변화에 신속·유연하게 대응하고 농업의 지속 성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조직개편을 단행하고, 2월 25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조직개편은 전체 기구·정원 수 증가 없이 기능을 강화하고 인력을 효율적으로 배치, 국민이 체감하는 성과 창출을 지원할 목적으로 추진됐다. 농업의 미래 성장산업화, 현장 문제·민생현안의 신속한 해결, 국가 기본임무의 충실한 이행에 중점을 두었다.
△농업의 미래 성장산업화 촉진= 본청에 그린바이오, 푸드테크 분야 연구 개발 총괄기획·조정 및 운영을 전담하는 '바이오푸드테크팀'을 신설해 기존 '스마트농업팀'과 함께 첨단기술 융복합을 통한 농업의 기술혁신을 견인한다.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를 '식품자원개발부'로 확대·개편해 국립식량과학원 하부조직으로 이관, 주곡 작물 가공·이용 기술 개발, 미래 식품소재 발굴 등 푸드테크 연구를 강화한다.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명자원부 미생물 소재 및 천연물 관련 연구조직을 '농업생물부'로 이관해 기존 미생물, 곤충 등과 함께 그린바이오 연구 기능을 일원화하고 소재별 연구를 강화한다.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명자원부 내 연구부서를 '디지털육종지원과'로 개편, '슈퍼컴퓨팅센터'를 신설해 디지털 육종 연구를 강화한다.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내에 '농업로봇과'를 신설해 기존 '스마트팜개발과'와 함께 빅데이터·인공지능 활용, 농작업 로봇화 등 스마트농업 미래 기술 수요에 대응한다.
△민생 현장 현안 해결 기능 강화= 농촌 노동력 부족 문제에 따른 밭농업기계화를 촉진하기 위해 국립농업과학원의 한시 연구팀을 '밭농업기계과'로 정규 직제화하고 인력을 확충한다.
반려동물 인구 증가 등 사회적 요구를 반영해 국립축산과학원의 한시 연구팀을 '동물복지과'로 정규 직제화하고 인력을 확충한다.
농촌소멸 대응, 농업인 안전·복지 기술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관련 기능을 통합, 국립농업과학원장 직속의 '농촌환경안전과'로 개편한다.
△충실한 국가 기본임무 이행= 이상기상, 병·해충 확산 등 심화하는 기후 위기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 '북부원예시험장'을 신설한다.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평가과'를 '기후변화대응과'로 명칭 변경하고 기능을 강화한다. 기존 '작물보호과'에서 담당했던 병·해충 연구 기능을 '식물병방제과'와 '해충잡초방제과'로 분리하고 인력을 확대한다.
콩, 밀 등 소비량은 많지만, 자급률이 낮은 전략 작물 연구를 강화하기 위해 국립식량과학원의 한시 연구팀을 '맥류작물과'로 정규 직제화하는 등 밭작물 개발 연구 기능을 강화한다.
권재한 농촌진흥청장은 "이번 조직개편은 갈수록 심화하는 기후변화와 농촌 고령화라는 현실적 위기를 첨단기술 융합과 민관협력 활성화를 통해 극복하는 데 중점을 두고 추진했다."라며 "농업의 기술혁신을 선도하면서 현안 난제를 해결하고 국민이 체감하는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경쟁력 있는 조직과 기능을 갖춰 나가겠다."라고 밝혔다.